ⓒ시사IN 성우제
<시사IN>은 신정아씨(위)를 미국 뉴욕에서 세 차례 만나 인터뷰했다. 신정아씨를 정식 인터뷰한 매체는 <시사IN>이 유일하다.
무척이나 더운 날이었다. 지난해 8월11일 서울 명동성당 꼬스트홀을 찾은 ‘시사모’ 회원은 땀에 흠뻑 젖어 있었다. <시사IN> 창간을 선포하는 자리였다. 그런데 단상에 오른 문정우 편집국장이 덜컥 창간 날짜를 못 박아버렸다. 9월15일.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한 달 만에 컴퓨터를 사고 집기를 갖추고 매체를 만들어야 했다.
특종이 필요했다. 기자는 특종을 먹고사는 동물이다. 특종을 하면 기자는 안 먹어도 배가 부르다. 누군가 특종을 하면 편집국 전체가 ‘뽕을 맞은 듯’ 힘이 난다. 무엇보다 특종은 <시사IN> 창간을 만천하에 고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돈도 안 들고.

시사모 회원이 보내온 특종


창간호에 실린 신정아씨 단독 인터뷰는 시사모 회원이 보내준 선물이었다. 신씨는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과의 스캔들이 터진 2007년 7월 미국 뉴욕으로 출국했다. 각 매체 담당기자가 그녀를 쫓았다. 공항에서 놓친 신씨를 찾기 위해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한 언론사도 있었다. 언론을 통해 신데렐라가 된 신씨는 언론을 잘 알았다. 친한 기자도 많았다. 그래서인지 돌변한 언론에 대한 혐오감이 극에 달했다.
뉴욕에서 신씨를 보호하던 인물은 열혈 시사모 회원이었다. 그는 신씨에게 <시사IN>이 만나고 싶어한다는 청을 전했다. “<시사저널> 기자들이 새로운 잡지 <시사IN>을 창간한다. 신정아씨와의 인터뷰를 창간호에 실으려 한다.” 고민 끝에 신씨가 <시사IN>을 만나겠다고 했다. 캐나다 토론토에 거주하는 성우제씨가 뉴욕으로 급파됐다. <시사저널> 문화부 기자 출신인 성씨는 <시사IN> 기자들이 펴낸 단행본 <기자로 산다는 것>을 뉴욕에서 구해 신씨에게 건넸다. 그때부터 신정아씨로부터 연락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