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인물
글쓴이 : 한경비즈니스 원글보기
메모 :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경제학)는 세계에서 가장 바쁜 한국인 중 한 명이다. 세계무역은 공평하지 않으며 신자유주의 폐해가 글로벌 경제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것이라는 그의 경고가 현실화되자 세계 경제학계는 그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신자유주의가 경제 부흥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해 오던 개발도상국가들에 그의 훈수는 경제 체질 개선의 보약이 되고 있다. 현실을 직시하고 각국에 맞는 다양한 경제 개발 모델을 수립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에 수많은 개발도상국가들이 박수를 보내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그는 요즘 멕시코·베트남·브라질 등 수많은 개발도상국가들을 돌아다니며 바쁘게 보내고 있다. 관련 학계에서는 장 교수를 한국인 중 노벨경제학상에 가장 근접해 있는 경제학자라고 평가하고 있다. 장 교수는 "미국과 영국 등 이번 글로벌 경제 위기의 진원지가 된 나라에서는 실업률, 소비자 신뢰지수 등이 계속 악화되고 있다"면서 "대공황 때와 마찬가지로 거품이 꺼지면서 경기가 또다시 하강 곡선을 그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2010년 우리 경제에 대해 장 교수는 "이번 위기는 경제의 과도한 금융화가 주원인이기 때문에 한국은 금융업보다 제조업을 집중 육성하는 등 경제 체질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신년 인터뷰는 장 교수가 지난 2009년 12월 신한금융투자 포럼 기조연설을 위해 한국을 방문했을 때 진행됐으며 추가 질문은 e메일로 나눴다. 장 교수는 장재식 전 국회의원(14~16대, 산업자원부 장관)의 아들이며 장하석 런던대 과학철학과 교수가 동생이다. 장하진 전 여성부장관, 장하성 고려대 경영대학장과는 사촌지간이다.
글로벌 경제 위기의 원인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이번 위기 원인은 지나친 규제 완화와 개방을 통해 우리가 도저히 다룰 수 없는 복잡한 시스템이 만들어졌다는데 있습니다. 금융 혁신(financial innovation)이라는 이름 아래 금융 당국은 물론이고 금융상품을 평가하는 신용평가 기관, 그리고 감독자들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복잡한 파생상품이 계속 만들어졌기 때문이죠. 고장이 나는 것은 시간문제였습니다. 특히 2000년에 정보기술(IT) 거품이 꺼지면서 이를 '돌려 막기' 하느라 미국이 지나치게 낮은 이자율을 유지한 것이 문제를 더 키웠다고 봅니다.
글로벌 경제에 대한 더블 딥 논란이 거셉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계경제가 어떻게 진행될지는 정말 알기 힘듭니다. 가능성은 낮지만 여러 가지가 잘 맞아 들어가면 완만하게 회복이 계속될 수 있죠. 하지만 자산 시장에 끼어 있는 거품이 급격히 꺼지면 더블 딥으로 갈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선 자칫 1990년대 일본처럼 장기 불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번 기회에 파생상품, 신용평가 기관, 금융회사 보너스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지 않으면 이 같은 사태는 5년, 10년 후 또 찾아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서둘러 규제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2010년 한국 경제에 대해선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단기적으로 한국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이번 위기는 애당초 우리 내부 문제였다기보다 외부 충격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이죠. 우리가 잘못해서 급속한 위기에 빠진 것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특별히 잘해서 빨리 탈출하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세계경제가 재추락한다면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경제 악화 속도가 더 빠를 공산이 큽니다.
최근 한국 내에선 영미주의 경제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며 유러피언 경제·사회 시스템을 도입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그는 요즘 멕시코·베트남·브라질 등 수많은 개발도상국가들을 돌아다니며 바쁘게 보내고 있다. 관련 학계에서는 장 교수를 한국인 중 노벨경제학상에 가장 근접해 있는 경제학자라고 평가하고 있다. 장 교수는 "미국과 영국 등 이번 글로벌 경제 위기의 진원지가 된 나라에서는 실업률, 소비자 신뢰지수 등이 계속 악화되고 있다"면서 "대공황 때와 마찬가지로 거품이 꺼지면서 경기가 또다시 하강 곡선을 그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2010년 우리 경제에 대해 장 교수는 "이번 위기는 경제의 과도한 금융화가 주원인이기 때문에 한국은 금융업보다 제조업을 집중 육성하는 등 경제 체질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신년 인터뷰는 장 교수가 지난 2009년 12월 신한금융투자 포럼 기조연설을 위해 한국을 방문했을 때 진행됐으며 추가 질문은 e메일로 나눴다. 장 교수는 장재식 전 국회의원(14~16대, 산업자원부 장관)의 아들이며 장하석 런던대 과학철학과 교수가 동생이다. 장하진 전 여성부장관, 장하성 고려대 경영대학장과는 사촌지간이다.
글로벌 경제 위기의 원인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이번 위기 원인은 지나친 규제 완화와 개방을 통해 우리가 도저히 다룰 수 없는 복잡한 시스템이 만들어졌다는데 있습니다. 금융 혁신(financial innovation)이라는 이름 아래 금융 당국은 물론이고 금융상품을 평가하는 신용평가 기관, 그리고 감독자들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복잡한 파생상품이 계속 만들어졌기 때문이죠. 고장이 나는 것은 시간문제였습니다. 특히 2000년에 정보기술(IT) 거품이 꺼지면서 이를 '돌려 막기' 하느라 미국이 지나치게 낮은 이자율을 유지한 것이 문제를 더 키웠다고 봅니다.
글로벌 경제에 대한 더블 딥 논란이 거셉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계경제가 어떻게 진행될지는 정말 알기 힘듭니다. 가능성은 낮지만 여러 가지가 잘 맞아 들어가면 완만하게 회복이 계속될 수 있죠. 하지만 자산 시장에 끼어 있는 거품이 급격히 꺼지면 더블 딥으로 갈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선 자칫 1990년대 일본처럼 장기 불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번 기회에 파생상품, 신용평가 기관, 금융회사 보너스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지 않으면 이 같은 사태는 5년, 10년 후 또 찾아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서둘러 규제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2010년 한국 경제에 대해선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단기적으로 한국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이번 위기는 애당초 우리 내부 문제였다기보다 외부 충격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이죠. 우리가 잘못해서 급속한 위기에 빠진 것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특별히 잘해서 빨리 탈출하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세계경제가 재추락한다면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경제 악화 속도가 더 빠를 공산이 큽니다.
최근 한국 내에선 영미주의 경제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며 유러피언 경제·사회 시스템을 도입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보와 주장 > 경기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새해 예산 조기 집행에 따른 몇 가지 예측 - 10.10.05 상승미소님 (0) | 2010.01.16 |
---|---|
[스크랩] 무너지는 세계경제, 진짜공부를 미리하자. 문제풀이편. 12. 18. 잭 런던 (0) | 2010.01.16 |
[스크랩] 미네르바 글 모음 - readme님이 복구한 미네르바 글 원문 (0) | 2009.10.28 |
[스크랩] 금리인상해도 부동산 폭락하지 않아... - 09.10.05 디에셀님 (0) | 2009.10.07 |
[스크랩] 사기에 속는 이유, 탐욕 (2009.10.07) - 세일러 (0) | 2009.10.07 |